작성: 2020-07-21 수정:
2020-07-21
동기(Synchronous) vs 비동기(Asynchronous)
동기와 비동기의 차이에 대한 정리
- I/O 이벤트 통지 모델
- 수신 버퍼나 출력 버퍼의 이벤트를 통지함을 의미
- 수신 버퍼 이벤트 -> 입력 버퍼에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림
- 출력 버퍼 이벤트 -> 출력 버퍼가 비었으니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황을 알림 * I/O 이벤트 통지 방식에 따른 동기/ 비동기 모델 분류
- 유저 프로세스 -> 커널 [I/O 작업 요청]
- 커널 -> 유저 프로세스 [I/O 작업 상황(결과) 반환]
- 동기(Synchronous) Model
- I/O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 프로세스는 결과를 기다렸다가 이벤트(결과)를 직접 처리하는 방식
- 이 때 유저 프로세스는 blocking 방식 처럼 결과를 기다리거나, non-blocking처럼 커널에 계속 요청하는 방식으로 기다릴 수도 있다.
- 비동기(Asynchronous)
- I/O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 프로세스를 신경 쓰지 않음, 이벤트 핸들러에 의해 전달된 알림만 처리하는 방식
- 결국 notify를 커널이 담당하여 주체적으로 진행하며, 유저 프로세스는 수동적인 입장에서 통지가 오면 그 때 I/O 처리를 함.
- 블로킹(Blocking), 논블로킹(Non-Blocking), 동기(Synchronous), 비동기(Asynchronous)
- 블로킹(Blocking): I/O 작업 상황(결과) 기다림 O / 대기 큐 필수 stay O
- 논블로킹(Non-Blocking): I/O 작업 상황(결과) 기다림 O / 대기 큐 필수 stay X
- 동기(Synchronous): I/O 작업 상황(결과) 기다림 O / 대기 큐 필수 stay X
- 비동기(Asynchronous) : I/O 작업 상황(결과) 기다림 X / 대기 큐 필수 stay X